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종합소득세 기초 개념과 신고 안내

by 해피누누 2025. 5. 12.
반응형
SMALL

반응형

2025 종합소득세 기초 개념 및 계산 구조 완전 정리

작성일: 2025년 5월 11일

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?

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다양한 소득을 종합하여 계산하는 세금입니다. 즉, 근로소득, 사업소득, 기타소득 등 여러 소득 항목을 한데 모아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 소득세법에 따라 과세되며, 국내 거주 개인이 대상입니다.

2025년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

다음과 같은 소득이 있는 사람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:

  • 사업소득: 자영업자, 프리랜서, 유튜버, 작가 등
  • 근로소득: 직장인(2곳 이상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)
  • 기타소득: 원고료, 강연료, 인세 등
  • 연금소득: 사적연금, 국민연금 수령분
  • 이자·배당소득: 일정 기준 초과 시 포함

종합소득세 과세기간과 신고 일정

종합소득세의 과세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. 신고 및 납부는 다음 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진행됩니다.

종합소득세 계산 구조 이해하기

종합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계산됩니다:

  1. 1단계 - 총수입금액 산정: 1년간 벌어들인 전체 수입
  2. 2단계 - 필요경비 차감: 경비 또는 비용을 제외
  3. 3단계 - 소득금액 도출: (총수입 - 필요경비) = 소득금액
  4. 4단계 - 종합소득금액 합산: 모든 소득 항목을 합산
  5. 5단계 - 소득공제 적용: 인적공제, 보험료, 교육비 등
  6. 6단계 - 과세표준 산정: 종합소득금액 - 공제금액
  7. 7단계 - 세율 적용: 누진세율에 따라 세액 계산
  8. 8단계 - 세액공제 차감: 기납부세액 또는 세액공제 차감
  9. 9단계 - 최종 납부세액 확정

2025년 종합소득세 세율표

2025년 현재 적용되는 종합소득세 누진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:
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
1,200만 원 이하 6% -
1,200만 원 초과 ~ 4,600만 원 이하 15% 108만 원
4,6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24% 522만 원
8,800만 원 초과 ~ 1억5천만 원 이하 35% 1,490만 원
1억5천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38% 1,940만 원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40% 2,540만 원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42% 3,540만 원
10억 원 초과 45% 6,540만 원

소득세 과세방법: 단일세율 vs 누진세율

종합소득세는 누진세율 구조를 적용하며,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부과됩니다. 반면, 분리과세 대상 소득(일부 금융소득 등)은 단일세율이 적용되어 종합소득세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 예: 이자소득 2천만 원 이하 등.

반응형
LIST